배비장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5 05:40
본문
Download : 배비장전.hwp





배비장전
Download : 배비장전.hwp( 70 )
순서
,감상서평,레포트
3. 등장인물
(1) 애랑
기생은 특수한 존재다. 배비장이 목욕하는 애랑을 보았을 때 그가 본 것은 기생 애랑이 아니라 미모의 여인으로의 접근이었다. 비장의 하락되어 가는 과정을 그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이 감상함으로써 자신들의 위에 군림했던 사람들의 위에 군림함으로 느껴지는 쾌락과 즐거움을 맛보는 것이다. 방…(省略)
다. 오직 두 세계를 왕래한다는 특권만이 있을 뿐이다.
(2) 방자
기생과 같은 신분적 특수성은 판소리 소설에서 방자로 대표되는 관노의 신분도 같다.
고전소설론
고전소설인 배비장전에 대해 작품의 개요를 설명하고 본문을 간략하게 설명한 글입니다. 육체를 도구로 사용함과 동시에 그것은 인간 그 자체를 의미한다. 정비장, 배비장을 벗기듯이 자신이 나체가 되는 것은 인간의 육체를 육체적인 의미 이상으로는 생각하지 않는 것이기도 한다. 이는 정통적인 고전소설에서 등장하는 초능력의 인물의 대행일 수도 있다아 그러나 상층에도 접근할 수 있고 하층의 어려움을 그들에게 대변할 수도 있는 위치에 있다고 해서 그것이 두 개의 얼굴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하층의 신분이면서도 양반 사회의 심층을 침투함으로써 상층과 가장 쉽게 통할 수 있는 특별한 위치다. 고전소설론 , 배비장전감상서평레포트 ,
설명
레포트/감상서평
고전소설인 배비장전에 대해 작품의 개요를 설명하고 본문을 간략하게 설명한 글입니다. 여염집의 여자로 변신한 애랑 앞에서 배비장은 공공연히 자신을 걸덕쇠라 자칭하며 신분의 격하를 무릅쓴다.
또한 애랑이 한라산에서 배비장을 유혹하는 것은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음을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비장이 애랑을 소유하고자 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실추는 신분의 통일화를 말한다. 신분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 그것은 벌거벗은 상태로부터 처음 되었고, 방자는 애랑을 규중 유부녀로 비장에게 알렸다. 애랑을 동급에 올려 놓았을 때만이 비장의 애랑에 대한 연연함은 더 강해지는 것이며 애랑을 기생으로 말했을 때 비장의 욕구는 아무 의미 없이 되고 만다. 이는 물론 의도한 바로써 그 의도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신분인 비장과 동급에 올려 놓는다. 배비장의 욕구를 좀 더 강하게 긴장시키는데 애랑의 신분을 속이는 일은 요구되며 이는 애랑이나 방자가 그 신분에 도달하고 싶은 욕망의 발로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