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자원개발기술 strategy 로드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0:21
본문
Download : 111228020100_.jpg
극한 environment에서의 시추기술과 장비운영, 생산 시 유동성 확보기술, IT를 접목한 저류층 특성화·모델링 구축 등도 개발 중이다.
이에 政府는 우리나라 자원개발 기술 수준을 현재 47%에서 2020년 80% 이상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기 위한 ‘자원개발기술 戰略로드맵’을 수립했다. 그 중 △신석유(오일샌드·초중질유 등) 생산기술 △신가스 생산기술 △심해·극한지 개발 및 자원 회수 증진 기술 △탐사기술 고도화 및 戰略지역 유망성 分析 기술 분야에 집중한다.
광물자원은 프론티어 지역에 대한 탐사기술 고도화를 통한 광상평가 기술개발에 맞춰졌다.
또 채광자동화와 원격제어를 통한 생산성·안정성·작업 environment 改善 기술도 나오고 있다아 고위험에 노출되는 지하채탄, 우라늄 채광, 소규모 갱도 등 열악한 environment에서 채광로봇을 활용한 지능형 채광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아 녹색산업에서 요구하는 불순물이 제거된 4~5N급 순도 희유금속을 저품위 희유금속 광에서 회수 또는 고순도화하는 기술도 관심을 받고 있다아
광물분야는 기술 수준을 현재 51% 수준에서 2020년 86%로 goal(목표) 를 설정하고 4대 분야, 14개 戰略품목, 37개 key point(핵심) 기술을 선정했다.
석탄·우라늄·희유금속 등 광물자원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아 china·인도 등의 전력수요 급증에 따라 원자력발전용 우라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광상생성 environment 모델링과 지화학탐사, 항공물리탐사 등 다양한 탐사 기법으로 획득한 資料를 융·복합 해석이나, 심도 500m 이상의 지하 심부광체 고정밀 탐사기술이 연구되고 있다아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
바클래이캐피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자원개발업체의 석유·가스 탐사 분야 경비 지출은 전체 사업의 20%를 차지하며, 매년 3% 이상 성장하고 있다아 특히 신석유·가스, 극한지, 고갈 유전 개발이 활성화하고 있다아 메이저업체는 탐사사업에 막대한 금액을 투자해 고수익을 올리고 있다아 브라질 국영 페트로브라스는 뉴질랜드 심해 유전 탐사 허가권을 획득했고, 엑손모빌·셰브런·셸·BP·토탈 등은 멕시코만·적도기니·나이지리아·앙골라·가봉·북해·동부 캐나다·남부 카스피해 등 심해 지역에서 대규모 유전·가스전 탐사에 성공하거나 개발이 한창이다.[뉴스포커스]자원개발기술 전략 로드맵
[뉴스포커스]자원개발기술 strategy 로드맵
희유금속 중 희토류 세계 생산량의 97%를 차지하고 있는 china의 가격 통제로 수급 불안정성이 심화돼 가격이 상승 추세다. 심해케이블(OBC)을 이용한 해상 3ingredient 혹은 4ingredient 資料측정기술, 해양전자탐사 기술과 광방위각 탄성파 資料처리 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가스 분야에서는 china·인도 등 국영 공기업이 세계 자원개발시장에서 엑손 모빌·BP 등 전통 오일메이저에 맞서 influence력을 확대하고 있다아 무엇보다 일반 가스의 다섯 배에 달하는 막대한 자원량과 채굴기술 발전에 따라 셰일가스·석탄층 메탄가스 등 신가스 확보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또 첨단 산업 등 하류 부문 산업 성장 기반이 되는 상류부문 기술개발을 추진하며 민간 서비스기업 육성을 위해 유망한 자원개발 서비스 분야를 선정한 후 단계적 기술개발에 나선다.
석유·가스 분야는 기술 수준을 현재 44% 수준에서 2020년 76%로 goal(목표) 를 설정하고 4대 분야, 12개 戰略품목, 47개 key point(핵심) 기술을 선정했다.





Download : 111228020100_.jpg( 29 )
다.
[뉴스포커스]자원개발기술 전략 로드맵
政府는 자원개발 기술 수준을 현 47% 수준에서 오는 2020년 8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을 goal(목표) 를 설정했다. 아울러 그린에너지 산업 발전에 필요한 리튬·희토류 등 희유금속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아 저품위 희유금속 광물 선별·정련·제련·초고순도화 기술도 요구된다. 반면에 세계적으로 기존 자원고갈 및 고유가가 지속되면서 높은 기술력을 통해 심저해·극한지 개발 피료썽이 끊임없이 제기되면서 기술력 확보의 중요성은 한층 커지고 있다아
자원개발 기술은 이 같은 시장 수요에 맞춰 연구되고 있다아 석유·가스 자원은 심해·심부·극한지 탐사개발 사업이 증가함에 따라 미국을 중심으로 심해 시추기술 연구개발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와 함께 일반석유·가스자원, 신석유·가스 자원 생산량 증대기술도 개발되고 있다아
자원개발 environment 대응을 위한 기술력 확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아 최근 극한지나 심해저 등 탐사와 생산이 쉽지 않은 environment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고유가 지속에 따른 오일샌드·셰일가스 등 새로운 석유·가스자원 개발을 위해서는 수압파쇄나 수평시추 같은 신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 기업 활용도 및 파급효율가 큰 분야를 중심으로 8대 분야, 26개 戰略품목, 84개 key point(핵심) 기술을 선정했다. ‘자원개발 key point(핵심) 기술 확보를 통한 자원강국 실현’이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까지 政府 투자 5000억원, 민간 투자 2700억원 등 모두 7700억원을 투입한다. 전기자동차용 2차전지 원료인 리튬 시장은 칠레와 아르헨티나 업체의 공급 독과점 상태고, 전기차 증가에 따라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선진국 선점기술은 해외 선두 기관과 공동연구를 통해 조기에 따라가고, 미선점 틈새 기술은 원천기술 확보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뉴스포커스]자원개발기술 strategy 로드맵
우선 자원개발 단계별(탐사→개발→생산→활용), 자원 종류별(석유·가스·광물) 선택과 집중을 통해 key point(핵심) 기술 개발한다. 자원개발 과정에 필요한 대부분의 기술 서비스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어 자원개발 투자 금액의 상당 부분이 국외로 유출되고 있다아 이에 지식경제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자원개발 기술력 강화를 통해 국내외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자원개발기술 戰略 로드맵 2011’을 마련했다.
설명
政府는 8대 자원개발기술 R&D 투자를 통한 기대 효율로 2015년까지 수입 대체효율 33조5000억원, 7964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아
레포트 > 기타
순서
政府는 선정된 84개 key point(핵심) 기술 개발을 위해 자원개발 특성과 국내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5대 戰略도 추진한다. 특히 △희유금속 확보 △저품위 비금속·에너지광물 선별 및 고순도화 △고심도 초정밀 자원탐사기술 △광물자원 원격·무인 개발기술 분야에 집중하기로 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탐사 성공률이 낮고 자체 광구 개발과 운영 능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선진국 기술 종속에서 탈피해 독자적인 자주개발 실천으로 공기업 외에 다양한 민간기업 육성과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세계 비철금속 탐사시장 규모는 우라늄을 포함해 117억달러였으며, 자원 확보 경쟁으로 극한지·고산지대 등 프론티어 지역 탐사·개발에 집중되고 있다아
◇자원개발 시장 현재상황과 기술연구 트렌드=자원개발 시장에서 요즘 국영석유기업 국제화, 즉 국영석유기업이 타국 국영석유기업이나 글로벌 석유기업과 공동 참여하는 프로젝트가 급증하고 있다아 사우디 아람코·가즈프롬 등 5대 석유기업의 국내외 합작투자와 지분 제휴, 각종 운영·서비스 계약 등이 비약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다.
◇84개 key point(핵심) 자원개발기술, 선진국 수준 향상=政府는 자원개발 분야 기술력 확보 등 질적 성장은 신재생·전력 등 타 에너지 분야에 비해 R&D 투자기간 및 재원·戰略이 미흡했다고 판단했다. 이어 기술성장단계와 기술개발 규모에 따라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기술개발 역할 분담, 상호 협력체계를 구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