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발표 자료(data) / 공시성과 통시성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발표 3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20:24
본문
Download :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발표자료.ppt
그러나 이러한 작은 change(변화)가 쌓이고 쌓이게 되면 어느 순간부터 그것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일이 있다. 그것은, 말이 곳에 따라 다르지만 그 다름이 작을 때는 그것이 눈에 띄지 않음과 같다. 당장에 한국말이 변하고 있다고 느끼진 않는 것이다.
설명
레포트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발표 자료 / 공시성과 통시성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발표 3





Download :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발표자료.ppt( 73 )
[레포트]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발표 자료(data) / 공시성과 통시성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발표 3
공시성과 통시성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발표 3조장선희, 이송은 ,윤정현, ...
순서
공시성과 통시성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발표 3조장선희, 이송은 ,윤정현, ...
공시성과 통시성우리말 연구의 첫걸음 발표 3조장선희, 이송은 ,윤정현, 이연우, 이세인, 이미리, 이해랑, 김용덕 발표 목차 언어의 두 가지 모습 소쉬르가 분류한 언어학 언어학의 두 갈래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의 차이 공시 언어학과 통시 언어학의 긴밀한 관계성 1.언어의 두 가지 모습 언어의 고정적인 면 우리가 느끼는 말의 머무름 우리는 오늘 쓰는 언어가 내일 달라진다거나 올해 쓰는 말이 내년에는 달라질 것이라는 생각 을 하지 않는다. 1.언어의 두 가지 모습 언어의 유동적인 면 옛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 과거의 말과 현재의 말의 차이 고려시대의 말 (서경별곡 제 2장 앞부분) 구스리 아즐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 아즐가 긴히 그츠리잇가나 위 두어...
레포트 > 기타
다. 항상 유동 상태에 놓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작은 change(변화)는 눈에 띄지 않는다. 원천이 깊은 물은 가뭄에도 끊이지 아니하므로 내를 이루어 바다로 흘러갑니다. 1.언어의 두 가지 모습 언어의 유동적인 면 옛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 과거의 말과 현재의 말의 차이 조선시대의 말 (용비어천가 제 2장)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하 니 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 내히 이러 바 래 가 니 뿌리가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아니하므로, 꽃이 찬란하게 피고열매가 많습니다. 마치 한 상태를 그대로 유 지하고 있는 것 같아 보인다. 1.언어의 두 가지 모습 언어의 유동적인 면 옛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는 과거의 말과 현재의 말의 차이 사실 말은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