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도 습도 change(변화) 비교 연구 - 호남 지방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04:58
본문
Download : [건축]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도.hwp
- 이른바 토속건축에서 자연환경의 影響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아
2.1 자연환경이 건축에 미치는 影響 : 기후요소에 의해 크게 좌우
1. 서 론 : 연구 테마, 목적, 범위 등
Download : [건축]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도.hwp( 13 )
1.2 연구목적 :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습도 변화 비교 연구를 통한 자연형 조절수법의 이해 및 현대 주거와의 상이점 파악
- 자기록온습도계
1) 측정(測定) 위치 : 전통주택 - ① 마당 ② 안방 ③ 대청 ④ 부엌
․ 목재 종류를 사막에서 사용하면 금방 건조해서 갈라지고, 건조 흙벽돌을 습한 지역에서 사용하면 허물어진다.
② 측정(measurement)방법
1.3 연구내용 및 방법 : 건물 내외부 열환경 측정(測定) 및 평가(온도, 습도 등)
* 목 차 1. 서 론 : 연구 테마, 목적, 범위 등 2. 이론 검토(간략하게) : - 자연환경이 건축에 미치는 영향 - 건축환경 조절의 방법 : 자연형, 설비형 - 온열환경요소 : 개인적 변수, 물리적 변수 - 주광률 - 온열환경지표 : 유효온도, ----- PMV, PPD 3. 기존연구 검토 ① 이경회, “자연환경조절측면에서 본 한국전통주택의 환경특성”, 대한건축학회지 30권 3호, 1986. 5. ② 손장열 외 1인, “우리나라 전통주거의 환경공학적 특성”, 대한건축학회지 30권 3호, 1986. 5. 4. 열환경 측정결과 및 분석 ① 측정일정 및 대상가옥 ② 측정방법 - 아스만통풍건습도계 - 자기록온습도계 - IAQ(Indoor Air Quality) 측정기 ③ 측정결과 및 분석 5. 결 론 - 참고문헌
3. 기존연구 검토
2. 이론(理論) 검토(간략하게) : - 자연environment(환경) 이 건축에 미치는 effect(영향)
4. 열environment(환경) 측정(measurement)결과 및 分析(분석)
- 참고한 문헌
- 건축environment(환경) 조절의 방법 : 자연형, 설비형
- 주광률
1) 지형적 요인 : 사막, 고원, 분지, 구릉, 산맥, 산림, 열대, 해안
- 온열environment(환경) 지표 : 유효온도, ----- PMV, PPD
․ 그러나 강풍이 있는 고원지대 등에는 바람이 잘 통하는 형태의 건축물을 건조하지는 않는다.
설명
- 온열environment(환경) 요소 : 개인적 변수, 물리적 변수
② 손장열 외 1인, “우리나라 전통주거의 environment(환경) 공학적 특성”, 대한건축학회지 30권 3호, 1986. 5.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건축,전통주택,공동주택,온도 습도 변화,전통주택 공동주택 온도 습도 변화
2. theory(이론)검토
2) 천연건재자원의 상황 : 목재, 얼음, 석재, 흙벽돌 등
① 측정(measurement)일정 및 대상가옥
[건축]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도 습도 change(변화) 비교 연구 - 호남 지방을 중심으로
③ 측정(measurement)결과 및 分析(분석)
: 공동주택 - ① 화단 ② 베란다 ③ 거실 ④ 안방 ⑤ 부엌
5. 결 론
- 아스만통풍건습도계
* 목 차
![[건축]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도-8701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A0%84%ED%86%B5%EC%A3%BC%ED%83%9D%EA%B3%BC%20%EA%B3%B5%EB%8F%99%EC%A3%BC%ED%83%9D%EC%9D%98%20%EC%98%A8%EB%8F%84-8701_01.jpg)
![[건축]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도-8701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A0%84%ED%86%B5%EC%A3%BC%ED%83%9D%EA%B3%BC%20%EA%B3%B5%EB%8F%99%EC%A3%BC%ED%83%9D%EC%9D%98%20%EC%98%A8%EB%8F%84-8701_02_.jpg)
![[건축]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도-8701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A0%84%ED%86%B5%EC%A3%BC%ED%83%9D%EA%B3%BC%20%EA%B3%B5%EB%8F%99%EC%A3%BC%ED%83%9D%EC%9D%98%20%EC%98%A8%EB%8F%84-8701_03_.jpg)
![[건축]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도-8701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A0%84%ED%86%B5%EC%A3%BC%ED%83%9D%EA%B3%BC%20%EA%B3%B5%EB%8F%99%EC%A3%BC%ED%83%9D%EC%9D%98%20%EC%98%A8%EB%8F%84-8701_04_.jpg)
![[건축]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도-8701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6/%5B%EA%B1%B4%EC%B6%95%5D%20%EC%A0%84%ED%86%B5%EC%A3%BC%ED%83%9D%EA%B3%BC%20%EA%B3%B5%EB%8F%99%EC%A3%BC%ED%83%9D%EC%9D%98%20%EC%98%A8%EB%8F%84-8701_05_.jpg)
- IAQ(Indoor Air Quality) 측정(measurement)기
① 이경회, “자연environment(환경) 조절측면에서 본 한국전통주택의 environment(환경) 특성”, 대한건축학회지 30권 3호, 1986. 5.
2) 측정(測定) 항목 : 온․습도, 기류, 복사, 조도
․ 열대지역에서는 실내바닥을 높혀 시원한 바람이 통풍되게 하고 열이나 습기제거, 지표하의 물을 피할 수 있음
3) 측정(測定) 기기 : 자기록온습도계, 복사온도계, IAQ(Indoor Air Quality) 측정(測定) 기
순서
1.1 연구 테마 : 전통주택과 공동주택의 온․습도 변화 비교 연구
다.